728x90

무상태 프로토콜

무상태(Stateless)

  •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보존하지 않는다.
  • 장점: 서버 확장성(스케일 아웃)이 높다.
  • 단점: 클라이언트가 추가 데이터를 전송해야 한다.

Stateful, Stateless 차이

상태 유지(Stateful)

  • 중간에 다른 서버로 바뀌면 안 된다.
    • 서버가 바뀔 시 상태 정보를 다른 서버에게 미리 알려줘야 한다.

무상태(Stateless)

  • 중간에 다른 서버로 바뀌어도 괜찮다.
    • 클라이언트 요청이 증가해도 서버를 대거 투입할 수 있다.
  • 무상태는 응답 서버를 쉽게 바꿀 수 있다 -> 무한한 서버 증설이 가능하다.

무상태(Stateless)의 한계

  • 무상태 - 데이터를 너무 많이 보낸다.
    • 로그인이 필요 없는 단순한 서비스 소개 화면
  • 상태 유지
    • 로그인
  • 로그인한 사용자의 경우 로그인했다는 상태를 서버에 유지
  • 일반적으로 브라우저 쿠키와 서버 세션 등을 사용해서 상태 유지
  • 웹 애플리케이션 설계할 때는 최대한 무상태로 설계한다. 정말 어쩔 수 없을 때만 상태 유지로 설계한다.

 

참조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 인프런 | 강의

실무에 꼭 필요한 HTTP 핵심 기능과 올바른 HTTP API 설계 방법을 학습합니다., - 강의 소개 | 인프런...

www.inflearn.com

 

반응형

'CS > HTTP'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 HTTP 메세지  (3) 2022.11.27
[HTTP] 비 연결성(Connectionless)  (0) 2022.11.27
[HTTP]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  (0) 2022.11.27
[HTTP] HTTP  (0) 2022.11.26
[HTTP] 웹 브라우저 요청 흐름  (0) 2022.11.26
코드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