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또를 정리하며
·
회고록/회고
글또 10기를 마무리하며1. 글또와의 첫 만남개발자로서 기술 블로그의 필요성을 느낀 계기나이가 들어갈수록, 그리고 나라는 사람에 대해 알아갈수록 명확하게 느껴졌던 것이 있다.나는 그렇게 명석하지 않다는 것. 남들이 한 번에 이해하고 넘어가는 것도, 나는 두 배, 세 배의 시간을 들여야 겨우 따라갈 수 있었다.많은 사람들이 글쓰기를 리마인드나 공유의 목적으로 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나는 그렇지 않았다.개발을 처음 시작했을 즈음, 남들이 작성한 글이나 문서를 읽을 때 쉽게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누군가는 자연스럽게 유추할 수 있는 중간 히스토리를 나는 파악하지 못했고, 헤매는 경우가 잦았다.그래서 나는 그 모든 과정을, 한 순간도 빼놓지 않는 나를 위한 글을 작성했다.내가 작성한 글들을 보면 굳이 작..
Vercel Speed Insight와 함께하는 RES 성능 개선기
·
회고록/업무 기록
Vercel Speed Insight와 함께하는 RES 성능 개선기Vercel를 통하여 새로운 서비스가 배포되면서, Speed Insights Tabs을 통하여 P75, P90, P95, P99라는 지표들을 처음 접하게 되었다. 이는 전체 사용자의 75%, 90%, 95%, 99%가 경험하는 성능 구간을 뜻하며, 우리가 제공하는 Real Experience Score(RES)가 전 세계적으로 어떤 분포를 보이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또한 Vercel에서는 Virtual Experience Score, Core Web Vitals도 지표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를 점수에 맞춰 색상별로 사용자에게 결과값을 나타내고 있다.Real Experience Score(RES)사용자 기기에서 수집한 실제 데..
데이터베이스 성능 최적화 기록
·
회고록/업무 기록
서비스 DB CPU 사용률 확인현재 외주로 일하고 있는 서비스의 DB를 모니터링하던 중, CPU 사용률이 굉장히 높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었다. CPU 사용량이 높아질 경우에는 성능이 저하되거나, 타임 아웃 및 연결 실패, 리소스 병목등 다양한 문제를 발생하며 결국 서비스 장애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이를 해결하기 위해 스케일 업/아웃, 인덱스 최적화, 캐싱 도입, 쿼리 최적화 등 여러 방법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번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의 사양이 서비스 규모에 비해 충분히 높다고 판단되어, 우선 쿼리 최적화와 인덱스 최적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 보기로 했다.문제 분석 및 개선 과정인덱싱DB에 부하가 집중되는 시간대에 서버 로그를 확인해 보니, 해당 시간에 자주 호출되는 로직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니어 개발자로서 적어보는 2024년 직무 회고
·
회고록/회고
2024년 돌아보기벌써 2024년이 며칠 남지 않게 되었다. 작년 이맘때쯤 차가운 한강이 보이던 잠실철교를 지나 광진구로 넘어가던 겨울을 보냈었는데, 지금은 눈 쌓인 빌딩 숲을 지나 영등포로 넘어가고 있다.그렇다. 2023년 5월, 개발자로 시작했던 첫 회사를 떠나 2024년 6월 새로운 회사로 이직하게 되었다.지난 퇴사 회고에서도 남겼듯 많은 것을 배웠던 회사였지만, 돌아보면서 너무 서투르게 작업을 했다는 것을 느꼈다.조금 더 경험이 많았다면, 나뿐만 아니라 회사에도 더 좋은 영향과 성과를 낼 수 있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지난 일을 돌아보면서 잘했던 것, 못했던 것 그리고 앞으로 잘하기 위해 어떤 것들을 준비해야 할지 생각해 보고 정리해 보려 한다.2년 차 주니어 개발자로서, 어떻게 발전하고 성장..
AWS SAM과 Lambda Web Adapter를 사용한 실무 인프라 전환기 [2/2]
·
회고록/업무 기록
이전 게시물 AWS SAM과 Lambda Web Adapter를 사용한 실무 인프라 전환기 [1/2]업무 중 진행한, ECS에서 Lambda Web Adapter를 이용한 Lambda 환경으로 전환한 인프라 작업에 대해 기록합니다.1편에서는 전환 배경과 인프라 작업에 대한 전반적인 셋업에 대한 내용이며,2편에서는 해chordplaylist.tistory.com 트러블슈팅Provisioning Concurrency, Auto ScailingAuto Scaling ARN 이슈문제${AWS::AccountId}와 같은 CloudFormation 템플릿 문법을 사용했을 때, 적절한 AWS 데이터가 들어가지 않아 발생한 이슈.해결${} 문법을 사용하지 않고, 명시적으로 값을 입력하여 문제 해결.CloudForma..
AWS SAM과 Lambda Web Adapter를 사용한 실무 인프라 전환기 [1/2]
·
회고록/업무 기록
업무 중 진행한, ECS에서 Lambda Web Adapter를 이용한 Lambda 환경으로 전환한 인프라 작업에 대해 기록합니다.1편에서는 전환 배경과 인프라 작업에 대한 전반적인 셋업에 대한 내용이며,2편에서는 해당 작업을 진행하며 발생했던 이슈, 인프라를 전환하며 얻을 수 있었던 이점 그리고 개인적인 후기에 대해 작성하였습니다..인프라 전환 배경Scrapping Lambda 작업에 따른 인프라 개선새로운 Lambda Scrapper를 만들 때마다 Server에서 사용하는 모델과 DTO를 재구성하고, DB를 새롭게 설정해야 합니다. Scrapper 추가로 인한 관리 포인트 증가를 줄이기 위해 인프라 개선 작업을 진행합니다.분리된 Lambda 함수 관리의 어려움Lambda 함수들이 프로젝트와 분리되어 ..
예체능 출신 비전공자 개발자로서의 첫 회사 퇴사 회고
·
회고록/회고
재직기간 2023년 05월 15일 - 2024년 06월 11일  나는 모든 결과는 운이라고 이야기하는 편인데, 나는 운이 꽤 좋은 편에 속한다.운을 높이기 위해 꾸준히 애썼지만, 바라는 이상에 비하면 정말 티끌 같은 노력에도 매번 결과가 나쁘지 않았다.(좋은 게 아니고 나쁘지 않았다...)  작곡가 커리어를 포기하고, 개발자로서 첫 시작을 하게 된 이 회사 역시 운이 좋아 들어올 수 있었다.성과에 대해 명확하게 판단하고 논할 수 있는 대표님, 업무와 자신의 업무에 대해 열정적이며 그것을 나눌 준비가 되어있는 동료들이 있었다. 더불어 문제 해결에 대한 능력과 경험, 책임감이 있고 팔로워들을 위해 변화할 수 있는 리더와 커리어와 업무에 대해 조언을 주는 멘토분들도 계셨다. 하나부터 열까지 동료들로부터 배울 ..
면접 회고 - 1
·
회고록/Archive
프레임워크란 무엇인가? 개발을 하기 위한 틀. 다 만들어지는 것(라이브러리)를 쓰는 것이 아니라, 내 것을 만들기 위한 도구들을 다 준비해놓은 틀의 느낌. 개발자가 선택해서 내 프로그램을 만들어가면 된다. 이미 필요한 것들을 다 만들어 놨기 때문에 불필요한 작업을 줄일 수 있고 기능 구현에 집중할 수 있다. 트랜잭션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컴퓨터 과학에서 트랜잭션 처리란 개별적인, 분할할 수 없는 작업. 각 트랜잭션은 완전한 단위(작업 단위)로 성공하거나 실패해야 한다. 즉, 하나의 비즈니스 로직으로 트랜잭션이 묶였다면 그 안에서 단 하나라도 오류가 발생할 경우 모두 실패처리(롤백)를 해야 한다. 비즈니스 로직 내에 있는 모든 로직이 성공해야 성공이라고 할 수 있다. 동기, 비동기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코드플리
'회고록'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