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오브젝트 목록 조회
kubectl api-resources

pod만 보기 바랄 때.

# 쿠버네티스 오브젝트의 설명과 1레벨 속성들의 설명
# apiVersion, kind, metadata, spec, status
kubectl explain pod
kubectl explain deployment

. 을 사용해서 더 디테일한 정보들을 볼 수 있다.

#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서 속한 노드 목록 조회
kubectl get nodes

# 쿠버테니스 오브젝트 생성/변경
# kubectl apply -f <object-file-name>
kubectl apply -f deployment.yaml

 

kubectl apply -f <>을 통해 pods을 올릴 수 있다.

# 애플리케이션 배포 개수를 조정 (replicas: 복제본)
kubectl scale -f deployment.yaml --replicas=3

# 현재 실행 중인 오브젝트 설정과 입력한 파일의 차이점 분석
kubectl diff -f deployment.yaml

- : 현재 값

+ : 내 파일에 작성된 값

 

# 쿠버네티스 오브젝트의 spec을 editor로 편집 (replicas를 4로 변경)
kubectl edit deployment/nginx-deployment:

배포된 NAME을 확인합니다.

I를 눌러 INSERT모드에서 수정을 진행합니다.

replicas의 개수를 3에서 4로 변경하였습니다.

ESC를 누르고 :wq!를 입력하여 빠져나옵니다.

수정이 완료되었습니다.

pods를 검색해보니 4개로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로컬 포트는 파드에서 실행 중인 컨테이너 포트로 포워딩
kubectl port-forward pod/nginx-deployment-74bfc88f4d-fkfjc 8080:80

포트포워딩을 하기 위해 파드를 검색하고, 포트포워딩 명령어에 pod name을 입력합니다.

# 현재 실행중인 컨테이너 프로세스에 접속하여 로그 확인
kubectl attach deployment/nginx-deployment -c nginx

해당 명령어를 입력하면 curl localhost:8080/version api를 입력하면 우측처럼 정보가 반환된다.

 

# 현재 실행중인 컨테이너 프로세스에 모든 로그 출력(-f: watch 모드)
kubectl logs deployment/nginx-deployment -c nginx -f

반응형
코드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