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고재성)
네트워크는 서비스를 받는 입장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입장으로 나뉜다.
서비스를 받는 입장은 집에서 인터넷에 접속할 때, 회사에서 인터넷에 접속해 업무를 할 때.
홈 네트워크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데는 모뎀, 공유기, 단말 간 물리적 연결이 필요하다.
무선 연결 : 무선 랜 카드, 무선 신호를 보낼 수 있는 매체(공기)
유선 연결 : 유선 랜 카드, 랜 케이블
데이터 센터 네트워크
데이터 센터 네트워크는 안정적이고 빠른 대용량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구성.
기존에는 3 계층 구성이 일반적이었지만 가상화 기술과 높은 대역폭을 요구하는 스케일 아웃(Scale-Out) 기반의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가 등장하면서 2 계층 구성인 스파인-리프(Spine-Leaf) 구조로 데이터 센터 네트워크가 변화.
스파인-리프 구조는 서버 간 통신이 늘어나는 최근 트래픽 경향을 지원하기 위해 제안.
최근에는 일반 서버에 10G Base-T 이더넷 포트가 기본적으로 제공되어 TOR(Top of Rack)스위치와 연결되고 리프(Leaf) 스위치인 TOR 스위치는 스파인(Spine) 스위치와 40G, 100G로 연결되는 추세.
프로토콜
프로토콜 : 규정이나 규약을 언급할 때 사용하는 용어. 네트워크 통신 규약을 프로토콜이라는 용어 사용.
최근에는 복잡하고 산재되어 있던 여러가지 프로토콜 기술이 이더넷-TCP/IP 기반 프로토콜들로 변경되고 있다.
- 물리적 측면: 데이터 전송 매체, 신호 규약, 회선 규격 등, 이더넷이 널리 쓰인다.
- 논리적 측면: 장치들끼리 통신하기 위한 프로토콜 규격, TCP/IP가 널리 쓰인다.
1900년대의 네트워크 환경의 한정된 자원으로 통신을 수행해야하다 보니 최대한 적은 데이터를 이용해 효율적인 프로토콜을 정의하고 사용했다. 대부분의 프로토콜이 문자 기반이 아닌 2진수 비트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애플리케이션 레벨의 프로토콜은 비트 기반이 아닌 문자 기반 프로토콜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HTTP와 SMTP와 같은 프로토콜이 대표적. 비트로 메시지를 전달하지 않고 문자 자체를 이용해 헤더와 헤더 값, 데이터를 표현하고 전송한다.
실제 텍스트 파일과 같은 데이터가 전달되기 때문에 효율성은 비트 기반 프로토콜보다 떨어지지만 다양한 확장이 가능하다.
프로토콜 스택
일반적으로 TCP/IP프로토콜은 TCP/IP 프로토콜 스택이라고 불리며 은 총 4개 부분으로 나뉜다.
물리 부분인 이더넷
데이터가 목적지를 찾아가도록 해주는 네트워크 계층
잘릿 패킷을 데이터 형태로 잘 조합하도록 도와주는 전송 계층과 애플리케이션 계층